택배점유율 2위인 우정사업본부의 우체국 '택배위치정보'는 국내 모든 택배의 이동경로와 현재위치를 알려주는 '스마트택배(㈜스윗트래커)'로 재탄생했다. 이 프로그램은 소비자뿐만 아니라 택배사까지 만족시킨 사례다. 소비자는 내 택배가 어디 있는지 쉽게 알 수 있고 택배사는 콜센터 문의 중 70%를 차지하는 단순문의 전화가 줄어들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회사는 설립 2년 만에 누적 다운로드 수 400만 건, 월사용자 120만 명을 돌파했다. 한편 정부는 국민, 기업의 고충을 해소하고 민간서비스가 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기업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공공기관이 제공하지 않을 경우 이를 해결해 주는 분쟁조정제도와 현장대응반(PSC)이 마련됐다. 아이디어는 있지만 환경이 열악한 기업을 위해 유망기업 지원제도를 마련하고, 79개 기업에 대해 민·관 합동으로 인프라, 홍보, 컨설팅 등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양질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14일 처음으로 공공데이터 표준을 제정해 전국의 주차장, 공원정보를 표준화 했다.지난 22일에는 공모를 통해 개발자, 기업인, 대학생 등 100명으로 구성된 '열려라 데이터' 활동단원을 구성하기도 했다. 이들은 앞으로 국민이 원하는 데이터를 직접 선정하게 된다.
또한 연말까지 10개, 2017년까지 100개의 데이터 표준을 마련하고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오픈포맷 비율을 50%까지 높이기로 했다. 민간과 중복논란이 있는 공공서비스도 단계적으로 정비해 민간 활동 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다.박경국 안행부 1차관은 "이제는 정부에서 개방할 수 있는 데이터가 아닌 민간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집중 개방할 시기"라며 "데이터를 개방하는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서비스, 창업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안행부는 3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공공데이터법 시행 1주년 기념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는 국회 안전행정위원장인 진영 의원과 김을동 의원, 전문가, 국민 등 400여명이 참석해 지난 1년간 공공데이터 개방성과를 점검하고 데이터산업 성장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저작권자ⓒ 화학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