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여개 신규 기업입주 7조원 이상 경제 파급효과
[화학신문 윤동혁 기자]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12일 전북도청에서 최양희 장관, 송하진 전북도 지사 등 산·학·연 관계자 200여명이 모인 가운데 전북연구개발특구(전북특구)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출범식에서는 전북지역의 농생명 및 첨단소재 융복합 R&D 역량을 바탕으로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해 '농생명·첨단소재 산업의 세계일류 융복합 지식허브'로 조성하겠다는 비전을 공식 발표했다.
특구 내 첨단방사선연구소, 농업과학원, 식품연구원(이전예정) 등 농생명 융복합 연구개발(R&D)기관과 한국과학기술원(KIST) 복합소재기술연구소 등 첨단소재 R&D기관의 공공연구성과를 토대로 한 사업화 성과가 기대된다.
특구는 전북도 전주시, 완주군, 정읍시 일원의 3개 지구으로 구축돼 있다. 사업화촉진지구(전주 혁신도시), 융복합소재부품거점지구(완주), 농생명융합거점지구(정읍)로 면적은 약 16.3㎢ 다.
![]() |
▲ © 화학신문 |
이날 전북특구 지정 후 설립된 3개의 연구소기업에 대해 최양희 장관이 등록증을 수여했다.
이들 기업은 ㈜신드론(산업·농업용 드론 제작 등), ㈜카이바이오텍(방사선 의약품), ㈜금강ENG(신재생에너지 설계 등 )이다.
최양희 미래부장관은 축사를 통해 "전북특구는 전북에 농생명과 탄소소재 산업분야의 R&D기관과 기업들이 집적되어 더 큰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정된 만큼, 전북혁신센터 및 산·학·연이 긴밀히 협력 성과 창출에 노력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북도는 특구 지정으로 인해 2025년까지 2만명 이상의 고용유발, 25억 달러 이상의 수출 증대, 300여개의 신규 기업입주가 이뤄져 7조원 이상의 경제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화학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