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유화학업계는 지난해 말부터 불황을 겪고 있다. 원인으로는 중국·중동의 대규모 설비 증설로 인한 공급과잉이 지적되고 있으며, 업계는 2028년까지 공급과잉이 심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성일종 국회의원과 서산시는 지역 내 주요 산업단지인 대산석유화학단지의 위기 극복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에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요구해 왔다.
특히 성 의원은 서산시의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위한 신청에 앞서 대산석유화학단지 주요 업체들과 수차례 면담을 거쳐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내용들을 청취하고, 소관 중앙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도 면담해 사전협의 및 충남도청 및 서산시의 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해 줄 것을 요구했던 바 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정부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서산시를 이날부터 2027년 8월 27일까지 2년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지역산업위기대응법’ 절차에 따라 신청서 검토와 서산시 현지 실사, 관계부처 및 지자체 실무 협의, 산업위기대응 심의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서산시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고 설명했다.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으로 서산시는 향후 2년간 고용유지지원금,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 대출 만기연장 및 원금상환 등의 지원을 받게 된다. 특히 이러한 지원혜택은 대기업, 중소기업 뿐만 아니라 소상공인들에게까지 주어진다.
또한 서산시는 이번 지정으로 인해 약 600억원 규모의 지방교부세를 추가로 배정받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성 의원은 이에 대해 “서산시가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됨으로써 침체를 겪고 있는 대산석유화학단지의 위기 극복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어 성 의원은 “대산석화단지는 우리 서산시 경제의 근간이므로, 지금의 위기를 반드시 극복할 수 있도록 지역구 국회의원으로써 모든 지원을 다할 것”이라며, “대산석화단지가 이번 위기를 극복하고 서산시 전체의 경제를 다시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앞으로도 할 수 있는 모든 지원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화학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