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안전운행 지장 없다" 거부 하다 된서리
불성실한 현대기아차 성토의 글 쏟아져, 수사의뢰까지
[화학신문 한영익 기자]현대 기아차 그룹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가장 많은 차체 결합이 발생하면서 강제리콜 조치됐다.
![]() |
▲현대차그룹 양재동 본사 전경 |
이번 강제리콜은 현대 기아차 측에서 아니한 태도때문에 괘심죄(?)가 적용됐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국토부는 자동차안전연구원와 함게 12개 차종에 대해 기술측면 조사와 향후 안전성 여부와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해 3월 29일과 4월 21일 두 차례 리콜을 권고했다.
국토교통부는 최종적으로 결합이 발견돼 리콜조치한 차종은 모두 12종으로 무려 24만대에 이른다.
결합있는 차종별로는 아반떼MD, i30 GD는 진공파이프 손상이 발견됐다.
모하비HM 경우는 허브너트가 잦은 풀림으로, 제네시스BH, 에쿠스 VI는 캐니스터 통기저항 과다로 드러났다.
쏘나타 LF, 쏘나타 하이브리드 LF HEV는 주차브레이크 작동등 미점등이 내부 전선 시스템이 엉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아자동차 브랜드별로는 SUV차종 모두가 R엔진 연료호스 손상이 있었는 쏘렌토XM, 투싼LM, 싼타페CM, 스포티지SL, 카니발VQ이다.
현대기아차 주장과 달리, 국토부는 진공파이프 손상, 허브너트 풀림 등 문제가 된 5개 결함이 모두 안전운행을 저해한다는 판단이 최종 내렸다.
앞서 현대기아차는 안전운행에 지장을 줄 결함이 아니라며 거부하자. 국토부는 8일 차량 리콜 관련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청문회를 열었다.
▲아반떼MD 엔진룸 |
국토부 관계자는 "요즘 소비자들이 인식이 너무 높고, 불신이 큰 만큼 이번 강제리콜은 제식구 감싸기는 더 이상 안된다는 부처내 내부의 의견도 높아 조치한 것으로 안다."면서 "특히, 스프링 절손 등 다른 9건의 결함에 대해서는 안전운행에 지장은 없지만 소비자 보호를 위해 공개 무상 수리를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앞으로 현대기아차는 이날로부터 25일 이내에 국토부에 결함시정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
문제는 현대기아차의 태도다. 현대기아차측은 최종 강제리콜 명령이 떨어지자마자 리콜 결정을 겸허히 받아들린다고 입장을 바꿨다.
현대차그룹 한 관계자는 "회사 입장에선 이번에 문제가 된 사안들이 운전자나 동승자에게 안전에 문제가 되지 않는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현대기아차는 1분기 실적에 지난달 세타2엔진 결함 리콜에 따른 충당금으로 현대차 2000억원, 기아차 1600억원 등 총 3600억원을 반영한 바 있다.
세타2엔진 리콜건은 국내 17만 대, 미국 119만 대, 캐나다 11만 대 등 국내외에서 150만여 대에 대해 진행됐다. 이날 현대차 주가는 1.59%, 기아차는 0.95% 하락했다.
이번 강제리콜조치가 내려지자. 반감을 가지고 있던 소비자들은 일제히 도덕성, 자동차 브랜드의 신뢰성과 외국산 브랜드를 선호하는 이유를 알아야 한다 등 국내 소비자들에게 매우 불성실했던 현대기아차를 향해 성토의 글도 수천 건이 쏟아졌다.
놀라운 사실은 이번 강제리콜에는 내부제보로 알려졌다. 모두 32건의 결함의심 사안 중 현대차에서 자발적으로 리콜계획서를 제출한 3건과 이번에 리콜처분된 5건을 제외한 나머지 24건에 대한 처리방향도 함께 발표했다.
유니버스 클러치 부스터 고정볼트 손상 등 9건은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는 제작결함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소비자 보호를 위해 현대차에 공개 무상수리를 시행할 것을 권고키로 했다.
쏘렌토 에어백 클락스프링 경고등 점등, 제네시스, 봉고3 ECU 불량 등 3건에 대해서는 추가조사 후에 리콜여부를 결정하고, 나머지 12건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한편 국토교통부 자동차정책과장은 12일 현대기아차의 차량 결함 5건과 관련해 "결함 은폐 여부에 대해 수사기관에 수사도 의뢰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화학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