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교육은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설과 주거지역이 인접한 대산공단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유해화학물질 유출을 대비하기 위해 추진된다.
시는 대산읍 화곡리, 대죽리, 독곶리, 대로리, 오지리, 기은리 등 6개 마을의 14개 경로당에서 교육을 진행할 방침이다.
시 기후환경대기과 환경안전팀 소속 공무원이 직접 교육을 맡으며, 화학물질 위험성에 대해 안내하고 사고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특히, 지역 주민이 사고 발생 소식을 안내받았을 경우, 신속한 대피에 초점을 맞춰 화학사고 발생 시 대피장소와 행동 요령 등을 중점 교육할 방침이다.
시는 교육 시 주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주민행동요령 책자를 직접 제작했다.
책자에는 유해화학물질 유·누출 등 사고 초기 단계부터 사고 확산, 사고 종료까지 주민행동요령이 담겼으며, 노약자와 장애인, 그 조력자에 대한 요령도 포함됐다.
시는 현재 환경부의 지침에 따라 8곳의 화학사고 대피장소를 지정, 운영하고 있다.
안성민 서산시 기후환경대기과장은 “혹시 모를 사태를 대비해 주민들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이번 교육에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또한, 화학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화학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